우리나라 사극에도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등과 같이 사극에서만 쓰이는 특유의 말투나 어휘가 있듯, 중국의 고장극도 그러하다.
고장극 말투에 익숙하지 않은 중드 시청자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고장극에 자주 등장하는 고정 격식 또는 표현을 정리해보았다.
길어질 것 같으므로 한 편당 표현 10개 정도로 나누어 계속 업로드할 예정이다.
1. 所言极是 [suǒ yán jí shì]
해석: (그 말이) 아주 옳소.
의견을 주고 받으며 상대의 말이 옳다고 맞장구칠 때 등장하는 대사.
2. 此言差矣 [cĭ yán chā yĭ]
해석: (그 말이) 틀리오/ 부족하오.
상대방의 말이 틀리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을 때 그를 지적하는 말.
3. 何出此言 [hé chū cǐ yán]
해석: 왜 그런 말(씀)을 하십니까?
여러 상황에서 쓰인다.
1) 상대방의 의도를 모르겠어 질문할 때
2) 그런 말을 하다니 내가 뭔가 섭섭하게 한 것이 있느냐라는 뉘앙스 전달
3) 대체 무슨 (악한)의도로 그런 발언을 하느냐 (공격당할 때 반박)
4. 陛下息怒 [bì xià xī nù]
해석: 폐하, 고정하십시오!
주로 신분이 고귀하거나 권력이 있는 사람이 화를 내고 있으면 아랫사람이 진정시키려고 하는 말이다.
자매품으로는 娘娘(마마)息怒, 殿下(전하)息怒, 阁主(각주)息怒, 大人(대인)息怒 등이 있다.
5. 谢陛下隆恩 [xiè bì xià lóng ēn]
해석: 폐하, 성은이 망극하옵니다!
6. 免礼 [miǎnlǐ]
해석: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예를 차릴 때, 윗사람이 만류하는 말
고장극을 보면 아랫사람이 포권을 하거나 몸을 숙이는 등의 예를 차리는데 이때 윗사람이 "免礼"라고 하면서 만류하곤 한다. 또는 병이나 부상 등으로 누워 있어 예를 차릴 수 없는 상황에서 굳이 예를 차리려고 하는 아랫사람을 만류할 때 이 대사가 나오기도 한다.
7. 行礼 [xíng lǐ]
해석: 예를 행한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윗사람을 만났을 때 예를 차리는 것을 "行礼"라고 한다.
8. 成何体统 [chéng hé tǐ tǒng]
해석: 이 무슨 꼴이냐? 이 무슨 체신머리 없는 짓이냐?
보통 예의, 사리에 어긋나는 말이나 행동을 지적할 때 쓰이는 대사다. 천방지축st 캐릭터들이 이 소리를 많이 듣는다.
9. 谬赞 [miù zàn]
해석: 거짓으로 칭찬하다, 환심을 사기 위해 칭찬하다라는 뜻인데, 보통은 "과찬이십니다, 당치도 않습니다" 정도로 해석하면 무방하다. 다시 말해, 당신이 나의 보잘것 없는 재주를 높여 칭찬하는 것이 아니냐며 겸손을 떠는 대사라고 볼 수 있다.
"陛下(폐하)谬赞"처럼 앞에 자신을 칭찬한 사람의 신분 (ex. 공주, 폐하)을 넣어 말하는 게 일반적이다. 또는 두 번 반복하여 "谬赞,谬赞"이라고 말하며 황송함을 표하기도 한다.
10. 闭门思过 [bì mén sī guò]
해석: 방의 문을 닫아걸고 잘못을 반성하며 근신하라는 뜻. 무엇인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윗사람이 내리는 (상당히 약한) 처벌 중 하나이다.
'중드 > 드라마로 배우는 중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중국어] 고장극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 모음 (3): 술 편 (0) | 2021.08.08 |
---|